본문 바로가기
자동차/DIY

휠너트 재체결 (feat. GNGC-200 디지털 토크렌치 어댑터)

by 바퀴 굴리는 프로그래머 2024. 11. 5.
반응형

지난 번에 임펙렌치를 사용해서 휠너트를 풀었다가 필자가 보유한 토크렌치의 한계 (110 N·m)로 인해 대충 발로 밟아 체결했었으나, 영 불안하여 디지털 토크렌치 어댑터를 다시 구매했다.

 

테무발 브러시리스 임팩트 드라이버/렌치 테스트 (JSD-HOPE TB48)

구매한 임팩트 드라이버렌치는 휠너트 풀기로 테스트해보기로 결정하였다. 우선 각 차량의 휠너트 소켓 규격을 확인해 본다. 스토닉은 21 mm, 익스플로러는 19 mm 소켓을 사용한다.각 차량의 사용

tnmsoft.tistory.com

 

구매한 제품은 테무에서 판매하는 GNGC-200 으로 1/2인치 소켓 헤드를 가진 12~200 N·m 짜리이다.

GNGC-200 디지털 토크렌치 어댑터 사양

 

패키지는 플라스틱 케이스 내에 본제품, 매뉴얼, 보증서가 들어있는 단촐한 구성이다. 본제품 좌측 하단의 비어있는 곳에는 3/8 소켓 어댑터가 추가로 들어가는 자리인 듯 하다. 어댑터는 이미 보유하고 있으므로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관계없다. 휠너트를 조이려면 토크렌치 어댑터 이외에 600mm 복스대와 익스플로러용 19mm 소켓, 스토닉용 21mm 소켓이 필요하다.

패키지는 단촐하다.

 

익스플로러는 135 N·m, 스토닉은 120 N·m로 세팅하고 모든 휠너트를 다시 체결해 주었다.

체결토크는 각각 135와 120 N·m 로 설정한다.

 

아래는 체켤 토크 135 N·m 사양의 포드 익스플로러 휠너트 체결 영상이다.

익스플로러는 135 N·m 로 체결한다.

 

아래는 체켤 토크 11~13 kg·m 사양의 기아 스토닉 휠너트 체결 영상이다. N·m 로 변환 시 107.8~127.4 N·m 가 된다.

스토닉은 120 N·m 로 체결해 주었다.

 

익스플로러 휠너트 중 한개가 80 N·m 정도 부터 힘을 받아 돌아가기 시작했다. 휠너트를 다시 체결해 주지 않았다면 언젠가는 풀렸을지도... 

테무발 디시털 토크렌치 어댑터의 정확도를 100% 신뢰하기는 어렵지만, 일단은 믿어보기로 한다.

 

반응형